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비즈니스

국가장학금 지원 정책 총정리

by 창고 지기 2025. 2. 28.
반응형

국가장학금 지원 정책 총정리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는 다양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했습니다. 국가장학금 확대부터 주거, 금융, 취업, 문화, 마음 건강까지, 청년들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주요 정책들을 하나로 정리했습니다.

1. 교육 지원 확대: 미래 인재 양성 기반 마련

  • 국가장학금 지원 확대:
  • 지원 대상: 8구간 이하 → 9구간 이하 확대
  • 수혜 인원: 약 100만 명 → 약 150만 명 (50만 명 증가)
  • 근로장학금 확대:
  • 수혜 인원: 약 14만 명 → 약 20만 명 증가
  • 우수 기술인재 육성:
  • 협약형 특성화고 및 첨단분야 마이스터고 추가 지정
  • AI·SW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마이스터고 혁신 지원
  • 직업계고 학생 취업 지원 강화 및 거점학교 확충
  • 공공기관 고졸 채용 만점비율 상향 및 군무원 지역인재 채용 신설
  • 학자금 및 주거 지원:
  • 기초·차상위 저소득층 대학생 대상 주거안정장학금 신설 (연 최대 240만 원)
  • 학자금 대출 금리 1.7%, 생활비 대출 한도 400만 원, 재학 기간 상환 유예
  • 저렴한 월세의 연합기숙사 제공
  • 청년 역량 발휘 지원:
  • 의대 교육 전담 조직 설치 및 운영
  •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등 연구장려금 지원 확대
  • 첨단분야 특성화대학 확대 및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운영
  • 전공자율선택제 등 교육혁신 및 미래융합형 인재 양성
  • 라이즈(RISE) 체계 본격 가동 및 지·산·학 협력 강화

 

2. 주거 안정 지원: 꿈을 펼칠 공간 마련

  • 청년월세 지원:
  •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월세 지원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택 마련을 위해 낮은 금리로 주택 구입 자금 지원
  • 청년안심주택:
  •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주택 제공

3. 금융 부담 완화: 경제적 자립 기반 마련

  • 청년도약계좌:
  • 청년들의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
  • 학자금대출 이자 지원:
  • 학자금 대출로 인한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
  •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
  • 고립,은둔 청년들에게 긴급자금, 금융복지 상담등을 제공한다.

4. 취업 및 창업 지원: 꿈을 향한 도약 지원

  • 청년취업사관학교: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핵심 인재 양성 및 취업 연계 지원
  • 청년창업 지원:
  • 창업 공간, 자금, 멘토링 등 창업 지원
  • 서울시 일자리 카페:
  • 취업 상담, 스터디룸 제공, 취업특강, 멘토링등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일자리 연계 강화:
  • 중소(견)기업의 대학 교육과정 설계·운영 참여 확대 및 채용 연계
  • 계약정원 자율학부 모델 확산 및 규제 개선
  • 대학 교원과 기업 전문가 연계, 산업계 맞춤형 교육 지원
  • 표준현장실습 인정 범위 확대 및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내실화

5. 문화생활 및 마음 건강 지원: 행복한 삶 지원

  • 청년문화예술패스:
  • 청년들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문화예술 관람 비용 지원
  • 청년 마음건강 지원:
  • 청년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 상담, 정신과 진료 등 지원

추가 정보:

  • 더 자세한 내용은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정부는 앞으로도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청년들이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